본문 바로가기

느리지만 꾸준히, 코딩

검색하기
느리지만 꾸준히, 코딩
프로필사진 slowin

  • 분류 전체보기 (64)
    • 프로그래밍 (63)
      • Golang (28)
      • React (5)
      • AI (30)
Guestbook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  • Golang Docs
«   2025/02   »
일 월 화 수 목 금 토
1
2 3 4 5 6 7 8
9 10 11 12 13 14 15
16 17 18 19 20 21 22
23 24 25 26 27 28
Tags
  • 상수
  • 스코프
  • array
  • 메서드
  • scope
  • golang array
  • 패스트캠퍼스업스테이지부트캠프
  • 변수
  • UpstageAILab
  • 패스트캠퍼스
  • golang slice remove
  • 패스트캠퍼스업스테이지에이아이랩
  • 국비지원
  • package
  • golang
  • golang pointer
  • golang interface
  • 패스트캠퍼스AI부트캠프
  • receiver
  • Interface
  • slice
  • method
  • 함수
  • keyword
  • struct
  • 타입
  • Pointer
  • golang slice
  • 업스테이지패스트캠퍼스
  • receiver method
more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  • 글쓰기
  • 방명록
  • RSS
  • 관리

목록2025/02/11 (1)

느리지만 꾸준히, 코딩

tensor: dim 이해하기

dim이란?Tensor에서 dim을 지정하는 이유는 데이터를 특정 차원(축, dimension) 기준으로 연산하기 위해서입니다.머신러닝과 딥러닝에서는 다차원 데이터(Tensor)를 다룰 때 차원을 기준으로 합(sum), 평균(mean), 최대값(max) 등의 연산을 수행해야 합니다.  코드 예시# 3x3 Tensor 생성tensor = torch.tensor([[1, 2, 3], [4, 5, 6], [7, 8, 9]])# 전체 합계print(torch.sum(tensor)) # 45# 열을 기준으로 합계 (dim=0) → 세로 방향 합print(torch.sum(tensor, dim=0)) # tensor([12, 15..

프로그래밍/AI 2025. 2. 11. 12:20
이전 Prev 1 Next 다음

Blog is powered by kakao / Designed by Tistory

티스토리툴바